'리콜박스 USB 포트로 부팅하기'에 해당되는 글 1건

 라즈베리파이3b+에 RecalBox를 설치하여 가끔 게임을 즐기고 있었는데, 어느 순간 부터 인지 모르게 부팅이 안되었다.

라즈베리파이의 부팅 문제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SD 카드 메모리가 인식이 잘 안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빈번하게 SD카드 메모리를 바꾸거나 하는 경우에 메모리 카드 슬롯 부분의 납땜이 떨어지면서 gap이 발생한다. 필자의 경우도 이 gap 때문에 SD카드 인식이 잘 안되었다. 점검 방법으로는 그저 단순히 sd카드 슬롯 부분을 꾹 눌러주니 부팅이 되었다.

손으로 누르니 부팅이 되었다.

 그래서 케이스에 종이를 덧대어 손으로 누른것과 같은 효과를 주었으나, 이제는 아예 부팅이 안되어 USB 포트로 부팅이 가능한가 확인하게 되었다. 결론은 가능하다. 그것도 아주 간단히...

 

 일단 라즈베리파이3b나 3b+ 같은 경우 혹은 그 이후 모델에는 기본적으로 usb 포트 부팅이 가능하게끔 설정이 되어 있다. 그래서 SD카드를 뽑고 라즈비안이나 기타 OS가 설치되어 있는 USB메모리를 포트에 꼽으면 바로 부팅이 가능하다.그러나 이전 버전 같은 경우에는 라즈비안 같은 os에서 bios값을 바꾼 후에야 가능하다. (이전 모델의 bios 변경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겠다.)

 

 상기와 같은 사실을 확인 후 SD카드를 제거 후 usb리더기를 이용하여 포트에 꼽았으나 부팅이 되지 않았다. 구글 검색을 하여, 리콜박스에서 cmdline.txt 파일의 수정이 필요한것을 알게 되었다. 수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1.리콜박스가 설치되어 있는 해당 SD카드를 윈도우 환경의 PC에 꼽는다. 

 2.해당 SD카드의 경로로 가면 cmdline.txt 파일이 있다.

 3.편집 하기 전에 cmdline.txt 사본을 생성하여 백업 한다.

 4.더블 클릭하여 실행하게 되면 메모장으로 편집 할 수 있다.

 5.메모장 내용을 보면 'root=/dev/mmcblk0p2'를 찾을 수 있는데 'root=/dev/sda2'로 수정을 한다.

(버젼이 낮은 리콜 박스의 경우에는 'root=/dev/sda1'로 수정을 한다. 필자의 사용자 환경은 Recalbox 6.1.1 Dragonblaze이다. )

 6.USB 포트에 꼽고 라즈베리파이의 전원을 넣으면 30초 정도 후에 리콜박스의 실행을 확인 할 수 있다.

 

수정된 모습

 일반적으로 SD카드 슬롯에서 부팅하는 속도가 USB 포트로 부팅 하는 속도보다 빠르다. 그렇기 때문에 필자와 같이 SD카드 쪽이 인식이 잘안되어지는 경우에만 USB포트로 부팅 하는 것을 추천한다. 

SD카드 리더기를 이용하여 USB포트에 꼽았다.별다른 설정 없이 cmdline.txt 수정만으로 USB포트로 실행 할 수 있었다.

 

블로그 이미지

JoOldDuck

Retro 게임, 게임기,취미,독서,IT 기기,여행에 대한 Post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