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의 배신은 현 국민의 힘 정당에 속해 있는 윤희숙 의원의 책이다. '저는 임차인 입니다.'라는 국회 연설로 대중들에게 이름을 알렸으며, 최근에는 국내 최장 필러버스터 갱신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정책의 배신이라는 책은 현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경제 정책에 대해 잘못된 점을 낱낱히 파헤치고 지적하는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다. 윤희숙 의원은 경제학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분으로 대중들의 눈높이로 책을 쉽게 쓰셨다. 

 

 그러나 정말 아쉬운 점은 보수 야당에 속해 있어서 그런지, 학자로서의 시선이 아닌 야당 국회의원의 시선으로 쓰인 책이 아닌가 싶다. 그만큼 책의 시선이 너무 보수적이고 편협하다. 완성도 있는 책이 나올 수 있었지만, 편협한 시선의 책은 한 곳만 응시 하고 있다. 

 

 현 정부 정책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 하는 윤희숙 의원의 생각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1.최저 임금 인상은 어려운 사람을 더 어렵게 만든다.

2. 경제를 악화 시키는 52시간제.

3.비정규직이 필요하다.

4.국민연금.

5.정년 연장.

 

 윤희숙 의원의 주장으로는 최저 임금이 인상 되면 영세 사업장이 임금을 감당하지 못한다고 한다. 그래서 자연스레 고용을 줄이게 되어 영세 사업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일자리가 사라지게 된다는 논리이다. 취업 역량이 떨어지는 사람들 대부분은 영세 사업장에서 일하고 있다. 그러나 간과되어진 사실 중 하나는 영세사업장의 대부분 1명 정도 고용(32%) 하고 있고, 0명을 고용하고 있는 경우는 28% 였다. 영세 사업장 대부분은 즉 인건비를 가장 많이 아끼고 있었다. 최저 임금의 인상이 부담이 되는 것은 맞지만 일자리를 사라지게 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아닌 것이다. 조선 일보에서 자영업자의 인건비 비중이 임대료 보다 높다는 보도가 있었다. 자영업 형태가 매우 다르고 많은 고용이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천편 일률적인 통계 적용은 말이 되지 않는다. 최저 임금을 올리고 취업 취약 계층의 경쟁력을 높이도록 취업 교육 서비스 등을 제공 하는 것이 보수가 말하는 자유 경쟁 시대에 적합한 방법이 아닐까? 보수가 말하는 자유 경쟁 시대가 기업을 위한 것에만 국한 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두번째 52시간제 근무는 윤희숙 의원의 말대로 유연성이 필요하다. 산업별, 직군별, 현장 상황이 모두 다르다. 중소 기업이나 작은 사업체 등은 추가적인 고용을 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보다, 산업 경쟁력이 더 떨어질 것이다. 

 

 세번째 윤희숙 의원은 우리나라 대기업,공기업에서 정규직 직원들이 강성 노조에 의해 과도하게 보호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 측에서는 신규 고용을 할 때 정규직 고용보호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비정규직 채용이 필요 하다고 한다. 그리고 회사가 벌어들이고 나눌 수 있는 파이는 한정적인데 정규직 직원들이 한정된 파이를 양보하지 않아 비정규직 더 열악한 환경에 놓이게 된다고 한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고용을 책임 지고 있는 삼성으로 예를 들고 싶다. 이곳에 노조가 있고, 임직원들이 사측과 교섭을 할 수 있는가? 사측의 노조 와해 사건으로 실형을 살고 있는 임원도 있고, 재판은 진행 중이다. 2020년에 들어서야 이재용 부회장은 무노조 경영 원칙을 폐기 하겠다고 했다. 윤희숙 의원이 주장은 전형적인 노사 대 노사 갈등 프레임 씌우기이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윤희숙 의원이 학자로서가 아닌 보수 정당의 의원으로서 책을 쓴것이라고 느꼈다. 우리 나라에서 강성 노조로 보호 받고 있는 회사는 자동차 생산 회사들인 현대 자동차, 쌍용 자동차 등 많지 않다. 하물며 이명박 정부 시절에 일어났던 쌍용 자동차 파업 사건에서는 협력 업체측 노조와 쌍용 자동차 노조가 같이 협력하여 파업을 했다. 

 

 과연 정규직 직원들이 과도하게 보호 받아 우리나라 일자리가 없는 걸까? 우리나라는 로봇 도입율 세계 1위 국가이다. 로봇 강국인 일본을 제치고 도입율 세계 1위인 나라이다. 양질의 일자리는 생산직에서 나오는데, 회사가 사람보다는 로봇을 도입하고 있는 것이다. 정규직 고용보호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비정규직 채용을 하면 되는데도 말이다. 

 

 무조건적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반대한다. 비정규직은 필요하다. 4시간 일하고 싶은 사람도 필요하고, 저숙련자들도 일자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규직 파이를 나눠야 한다'라는 윤희숙 의원의 주장에는 공감이 가지 않는다. 

 

 국민연금은 시급히 대타협이 필요하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는 정말 많은 공감을 했다. 지금의 연금 정책은 이제 유지 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정책 수정이 필요하지만, 표를 의식하는 현 정부와 차기 정부는 폭탄 돌리기를 지속 할 것이다. 우리는 투표에서 국민 연금 정책 수정에 대해 논의를 제기 하고 중재 할 수 있는 정치인을 국민의 대표로 세워야 한다.

 

 

 

 

'책 독후감과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일 종족주의 독후감(리뷰) #1  (0) 2020.03.17
블로그 이미지

JoOldDuck

Retro 게임, 게임기,취미,독서,IT 기기,여행에 대한 Posting

,

 고전 PC게임 디아블로1을 이제 Web browser에서 즐길 수 있다. PC는 물론 휴대폰에서도 

이제 인터넷에 연결된 환경이라면 언제든지 구동 할 수 있다. 단 조건이 있다. 디아블로1 CD에 있는 DIABDAT.MPQ 파일이 있어야 한다.해당 파일을 휴대폰에 원하는 경로에 저장해 놓는다.

DIABLO1 CD를 삽입하면 DIABDAT.MPQ 파일을 확인 할 수 있다.

https://d07riv.github.io/diabloweb/ 사이트에 접속 후 Select MPQ 선택 후 

DIABDAT.MPQ이 저장된 경로를 찾아 선택하면 디아블로1을 플레이 할 수 있다.

아래 스크린샷은 갤럭시s10에서 실행된 디아블로1 PC버젼의 모습이다. 롤플레잉 게임인 만큼

세이브 환경도 필요한데 같은 디바이스 내에서 세이브를 지원을 한다. 

배틀넷이나 멀티 플레이는 지원을 하지 않는다.

버젼도 초기버젼으로 만들어져, 

자잘한 버그가 많은게 단점 이지만 어느 환경에서 플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점은 상쇄 할 수 있다.

블로그 이미지

JoOldDuck

Retro 게임, 게임기,취미,독서,IT 기기,여행에 대한 Posting

,

 앞선 포스팅에서 게임 보이 컬러 백라이트를 다루었다. 백라이트 개조를 위해서는

게임보이 컬러 분해가 필요한데, 일반 +자 드라이버가 아니라 Y자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Y자 드라이버도 +자 드라이버 처럼 크기별로 종류가 다양하다.

'닌텐도 Y자 드라이버'라고 치면 여러 종류가 나온다.

그중에서 필자는 2.5-50 크기의 드라이버를 구매 했다.

쇼핑몰 대다수가 닌텐도 조이콘 수리용 Y자 드라이버를 파는데 

사이즈가 0.6-30mm의 제품으로 판다. 게임보이 컬러의 Y자 Bolt는

조이콘의 Y자 Bolt보다 사이즈가 더 크기 때문에

0.6-30mm의 드라이버로 사게 되면, 볼트를 풀기 위해 힘이 많이 들거나,

볼트가 손상(소위 야마난다)되기라도 하면 영구적으로 풀 수 없게 된다.

 

 2.5-50 크기의 드라이버로도 스위치 조이콘 Y자 볼트 또한 풀 수 있다.

범용성이 더 좋기 때문에 필자는 2.5-50 크기의 드라이버로 사는 것을 추천한다.

 

 

블로그 이미지

JoOldDuck

Retro 게임, 게임기,취미,독서,IT 기기,여행에 대한 Posting

,

 필자는 게임보이 컬러 백라이트 개조에 관심이 없었다. 레트로 느낌을 그대로 느낄려면 오히려 순정 상태의 액정이 좋다고 생각 했다. 일단 몇몇 백라이트 액정들은 케이스 가공과 납땜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서 기계가 망가질 위험도 있었다. 소위 금손이 아닌 이상 도전 하기가 부담스러웠다.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우연찮게 GBC용 백라이트를 보게 되었고, 해당 제품은 케이스 가공과 납땜질이 필요 없어, 구매하게 되었다. (센서를 이용한 밝기 조절은 덤)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GBC BACKLIGHT라고 검색을 하면 여러 제품들이 나온다. 원하는 구성의 제품을 선택하나 아래 사진과 같은 제품으로 사야 케이스 가공이 필요 없다. 제품 설명에 '쉘 가공이 필요 없다.' '납땜이 필요 없다.'라는 식으로 기재가 되어 있으니, 확인 후 구매 하면 된다. 가격은 스토어마다 상이하다. 필자 같은 경우는 기본 SET로₩ 48,528의 가격에 구매했다. 주문 옵션에 케이스, COVER GLASS등 옵션 선택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 개조 하는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겠다.

 

 

블로그 이미지

JoOldDuck

Retro 게임, 게임기,취미,독서,IT 기기,여행에 대한 Posting

,

 라즈베리파이3b+에 RecalBox를 설치하여 가끔 게임을 즐기고 있었는데, 어느 순간 부터 인지 모르게 부팅이 안되었다.

라즈베리파이의 부팅 문제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SD 카드 메모리가 인식이 잘 안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빈번하게 SD카드 메모리를 바꾸거나 하는 경우에 메모리 카드 슬롯 부분의 납땜이 떨어지면서 gap이 발생한다. 필자의 경우도 이 gap 때문에 SD카드 인식이 잘 안되었다. 점검 방법으로는 그저 단순히 sd카드 슬롯 부분을 꾹 눌러주니 부팅이 되었다.

손으로 누르니 부팅이 되었다.

 그래서 케이스에 종이를 덧대어 손으로 누른것과 같은 효과를 주었으나, 이제는 아예 부팅이 안되어 USB 포트로 부팅이 가능한가 확인하게 되었다. 결론은 가능하다. 그것도 아주 간단히...

 

 일단 라즈베리파이3b나 3b+ 같은 경우 혹은 그 이후 모델에는 기본적으로 usb 포트 부팅이 가능하게끔 설정이 되어 있다. 그래서 SD카드를 뽑고 라즈비안이나 기타 OS가 설치되어 있는 USB메모리를 포트에 꼽으면 바로 부팅이 가능하다.그러나 이전 버전 같은 경우에는 라즈비안 같은 os에서 bios값을 바꾼 후에야 가능하다. (이전 모델의 bios 변경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겠다.)

 

 상기와 같은 사실을 확인 후 SD카드를 제거 후 usb리더기를 이용하여 포트에 꼽았으나 부팅이 되지 않았다. 구글 검색을 하여, 리콜박스에서 cmdline.txt 파일의 수정이 필요한것을 알게 되었다. 수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1.리콜박스가 설치되어 있는 해당 SD카드를 윈도우 환경의 PC에 꼽는다. 

 2.해당 SD카드의 경로로 가면 cmdline.txt 파일이 있다.

 3.편집 하기 전에 cmdline.txt 사본을 생성하여 백업 한다.

 4.더블 클릭하여 실행하게 되면 메모장으로 편집 할 수 있다.

 5.메모장 내용을 보면 'root=/dev/mmcblk0p2'를 찾을 수 있는데 'root=/dev/sda2'로 수정을 한다.

(버젼이 낮은 리콜 박스의 경우에는 'root=/dev/sda1'로 수정을 한다. 필자의 사용자 환경은 Recalbox 6.1.1 Dragonblaze이다. )

 6.USB 포트에 꼽고 라즈베리파이의 전원을 넣으면 30초 정도 후에 리콜박스의 실행을 확인 할 수 있다.

 

수정된 모습

 일반적으로 SD카드 슬롯에서 부팅하는 속도가 USB 포트로 부팅 하는 속도보다 빠르다. 그렇기 때문에 필자와 같이 SD카드 쪽이 인식이 잘안되어지는 경우에만 USB포트로 부팅 하는 것을 추천한다. 

SD카드 리더기를 이용하여 USB포트에 꼽았다.별다른 설정 없이 cmdline.txt 수정만으로 USB포트로 실행 할 수 있었다.

 

블로그 이미지

JoOldDuck

Retro 게임, 게임기,취미,독서,IT 기기,여행에 대한 Posting

,

 블림싱크에서 8bitdo 블루투스 어댑터에다가 듀얼쇼크나 기타 패드를 페어링을 성공한 경우 메뉴 화면 및 PS1게임에서는 자동으로 인식된다.별다른 설정 없이 바로 게임을 플레이가 가능하다.

 

 그러나 에뮬 스테이션(프론트엔드)에서도 자동으로 인식 되어 게임 선택 및 실행 까지 가능하나,

정작 게임 내에서는 인식이 안되는 경우를 발견하였다. 8bitdo 블루투스 어댑터 문제는 아니고 레트로 아크에서의 게임패드 설정이 누락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행하기 전에 8bitdo 블루투스 어댑터와 듀얼쇼크가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여야 한다. 그리고 2인용 포트에 기존 유선형 플레이 스테이션 게임패드를 꼽는다.

 

 블림 싱크 실행 후 메뉴에서 왼쪽 키를 눌러 레트로 아크로 진입한다. 

레트로아크 메뉴 실행

일단 레트로 아크 메인 메뉴에 진입 하게 되면 이때 부터 듀얼쇼크 패드의 사용이 불가능 해진다. 2인용 포트에 꼽아 놨던 패드를 잡고 Setting→Input으로 들어온다. Input 메뉴 진입 후 아래 버튼으로 쭉 내리다 보면 Port1 Binds가 나오는데 이게 1인용 패드(페어링된 듀얼쇼크)키설정 메뉴이다.

키설정 메뉴

 

 필자의 경우에는 Analog to digital Type은 Left Analog로 설정 후 나머지 키설정을 진행하였다. 설정 방법은 2인용 패드를 이용하여 설정을 원하는 목록에서 2인용 패드의 X버튼을 누르면 원하는 버튼을 누르라는 메시지가 뜨는데

그때 페어링된 패드의 원하는 버튼을 누르면 된다.

해당 팝업창이 뜨면 페어링된 패드에서 원하는 버튼을 누르면 된다.

필자는 듀얼쇼크 패드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으니, 참고 부탁 드린다.

레트로 아크에서 듀얼 쇼크 패드 설정

블로그 이미지

JoOldDuck

Retro 게임, 게임기,취미,독서,IT 기기,여행에 대한 Posting

,

 게임보이 컬러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려면 3V의 입력 전압이 필요하다. 일반 AA건전지 1개 같은 경우는 1.5V의 입력전압을 가지고 있다. 게임보이 컬러에 AA건전지 2개가 들어가 3V의 입력전압이 충족이 되는것이다. 게임 보이 컬러 같은 경우 Backlight 개조를 안한 순정의 상태라면 일반 AA건전지로 8시간에서 10시간 정도 플레이가 가능하다. 그러나 매번 건전지를 갈기도 귀찮고 제대로 수거가 되지 않을 경우 환경 오염 문제도 무시하지 못한다. 그래서 에네루프라던지 기타 충전지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충전지가 입력 전압이 1.2V이기 때문에 작동은 가능 하지만 2~3시간 정도 사용하게 되면 게임기가 꺼졌다 켜졌다 하는 경우가 생긴다. 

 

 대부분의 충전지가 소재로 Ni-Mh를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가격이 비싼 충전지를 사용해도 소재가 Ni-Mh로 되어 있다면 전압이 딸려 게임기 전원이 꺼졌다 켜졌다를 할 수 밖에 없다. Li-ion의 소재로 한 AA충전지도 있다. 그렇지만 가격도 비싸게 형성 되어 있고, 전용 충전기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집에서 장시간 게임을 플레이 할때는 전원 어댑터만한게 없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게임보이 하단을 보면 DC 3V IN라고 각인된 문구를 볼 수 있다. 이는 전원 어댑터의 출력이 3v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출력 전압이 3V가 넘어가는 전원 어댑터를 사용하면 실행은 되겠지만, 게임기 수명에는 좋지 않을 것이다. 

 

 필자는 태영전자의 3v 어댑터를 사용하였다. 가격은 인터넷 쇼핑몰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5500원에서 7000원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배송비를 포함한다면 약 만원 안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모델명과 상세 스펙은 사진을 참고 바란다.

게임보이 컬러에 사용 가능한 전원 어댑터

 출력 전압과 기타 스펙이 충족이 되더라도, 게임보이 컬러 하단에 있는 어댑터 구멍에 맞지 않는다면 사용 할 수 가 없다. 그러나 위 제품은 변환 젠더를 5개 포함 하고 있고, 포함된 젠더에는 게임보이 어댑터 구멍에 맞는 젠더가 동봉되어 있다.  

동봉된 변환 Gender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그냥 젠더만 바꾸어 끼면 절대 안된다. 게임보이 하단을 다시 보면 DC 3V IN 옆에 알 수 없는 기호가 각인 되어 있다. 건전지에나 있는 +,-의 구분이 어댑터에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무슨 전기 기호???

기호의 뜻은 어댑터의 Hole 내경이 + 외경이 -로 세팅이 되어 있는 어댑터를 사용하라는 뜻이다. 이해가 잘 안간다면 아래 사진을 참고해 주거나, 필자와 같은 제품을 사서 사진과 같이 똑같이 세팅을 하면 된다. 

 가격도 저렴하고 여러가지 젠더도 동봉되어 있어 좋지만 어댑터 사용 시 아래 사진과 같이 끝까지 다 삽입은 되지 않는다. 저절로 빠질 정도로 고정 자체가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왕이면 딱 맞는 제품이 좋지 않은가?

제품의 정말 유일한 단점

 

블로그 이미지

JoOldDuck

Retro 게임, 게임기,취미,독서,IT 기기,여행에 대한 Posting

,

 플레이스테이션 클래식은 앞선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레트로 게임기로 가격과 성능면에서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tv선반 등에 설치를 해놓고 게임을 할려고 하면 동봉된 게임패드로는 사실 불편하다. 동봉된 게임 패드는 대략 1.5m의 유선 타입이다.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아파트 거실을 기준으로 tv 선반에서 부터 소파까지의 거리가 1.5m는 넘기 때문에 소파에 앉아서 편하게 게임을 즐기기엔 등과 목에 무리가 있다. 

 

 원래 레트로 게임을 불편을 감수하면서 감성을 중시 하는 유저들도 분명 있을것이다. 그러나 무선 패드를 한번 경험 하고 나면 그 편함을 벗어 나긴 힘들다. '듀얼 쇼크나 엑스박스 패드등 좋은 무선 패드가 있는데, 플레이 스테이션 클래식에서 사용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라고 고민한 유저들을 위한 해답이 여기 있다. 8bitdo 블루투스 게임패드 리시버가 바로 그 해답이다.

 

 슈퍼마리오에 등장 하는 벽돌과 같이 생긴 이 USB는 플레이 스테이션 클래식이나, 닌텐도 스위치에서 듀얼쇼크나 엑스박스 게임 패드를 사용 할수 있게끔 하는 리시버의 한 종류이다. 가격도 굉장히 저렴하다. 알리익스프레스 기준 1만 5천원 정도면 구매가 가능하다. 색상은 레드와 그레이 두 종류가 있다. 필자는 슈퍼마리오 벽돌 시그니쳐 색과 비슷한 레드로 구입 했다. 그러나 막상 플레이 스테이션 클래식에 설치해서 보니 그레이 색이 게임기 톤과 색이 맞아 더 어울릴 듯하다. 

 

일단 구입한 어댑터에 최신 버젼의 펌웨어가 설치되어 있질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였다.

https://support.8bitdo.com/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주 쉽게 펌웨어를 다운 받을 수 있다. 본인이 구매한 제품 사진이 업로드 되어 있으니 그 사진을 클릭하면 펌웨어 다운로드 안내가 나온다. 금일 날짜 2020년 4월 30일 기준 최신 버젼은 v1.30으로 확인 된다. 해당 펌웨어를 다운로드 받고 압축을 풀면 8BitDo_Retro_Receiver_Tools_for_Update.exe 파일이 나온다. 더블클릭하여 실행 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화면이 실행이 된다. 어댑터를 usb포트에 삽입 한 다음 update를 클릭하면 완료가 된다.

듀얼쇼크와 게임패드 연결은 더 간단하다. 플레이 스테이션 클래식에 어댑터를 삽입 후 전원을 키면 어댑터에서 붉은 led가 작게 점멸 한다. 이 led가 점멸 할때 듀얼 쇼크의 share버튼과 ps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듀얼쇼크가 페어링 mode로 진입하며 패드의 led가 점멸한다. 이때 8bitdo 어댑터의 동그란 버튼을 눌러주면 끝이다. 아래 사진을 참고 바란다. 

 

8bitdo blue어댑터와 듀얼쇼크4 페어링

 많은 유저들이 무선 게임 패드 인풋렉 반응속도 저하를 걱정한다. 글쓴이가 사용 했을때 인풋렉 등을 전혀 느낄 수가 없었다. 이 제품의 단점으로는 어댑터 한개다 듀얼쇼크 하나만 연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2인용 컨트롤러까지 무선으로 즐기고 싶다면 어댑터를 반드시 2개 구매 하여야 한다. 

 

 필자는 듀얼쇼크4 페어링 이후 PS4에서 사용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의외로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을 하였는데 ps4와 듀얼쇼크를 usb 케이블로 연결 하고 나서야 ps4컨트롤러로 인식을 하였고, 다시 무선으로 사용 할 수 있게 되었다. 필자와 같은 비슷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꼭 참고 해주길 바란다. 

블로그 이미지

JoOldDuck

Retro 게임, 게임기,취미,독서,IT 기기,여행에 대한 Posting

,